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이스라엘[자원전체][KimsWorld][잡동사니]
- BC 17~16 세기 성서시대
- 노아
- 함 : 노아의 벗은 몸을 보고 버릇없이 행하여 노아로부터 아버지 함과 함께 저주를 받았다(창 9:24)
- BC 17세기 : 조상 아브라함,이삭,야곱시대
- 아브라함 : 사우디아라비아에서 태어나 유대민족을 가나안으로 이주
- 야곱:아브하람의손자, 기근으로 애굽(이집트)으로 이주, 파라오왕족의 노예생활
- BC 13세기 출애굽
- 모세가 여호와의 이름으로 수백만 유대족을 가나안(팔레스타인,예루살렘)으로 인도 , 가나안을 멸망시키고 유대왕국 건국 약 200년간 번성
- BC 13~12세기 이스라엘민족의 팔레스타인 정착, 이스라엘(유다) 왕국
- 가나안을 멸망시키고 유대왕국 건국 약 200년간 번성
- BC 1020 군주제설립, 초대 사울왕, 이후 다윗, 솔로몬왕등등
- BC 1000, 다윗 왕국의 수도로 예루살렘이 건설됨 야훼교
- BC 960, 유대민족의 국가적, 정신적 중심인 첫 번째 성전이 솔로몬왕에 의해 예루살렘에 세워짐
- BC 930, 유다 왕국과 이스라엘왕국으로 분열됨
- BC 722-720, 앗시리아에 의해 이스라엘 왕국 멸망 , 10 개 지파가 흩어짐
- BC 586 유다왕국 , 바빌로니아에게 정복됨 . 예루살렘과 첫 번째 성전이 파괴됨 .
유대인 , 바빌론에 포로로 잡혀감 ( 바빌론 유수 )
- BC 536-142 페르시아와 그리스 시대
- BC 538-515 바빌론으로부터 제 1 차 귀환 ; 성전 재건, 사두개파,바리새파, 에세네파
- BC 332 알렉산더(마케도니아) 대왕에게 정복당함, 노예 , 그리스의 지배
- BC 166-160 하스모니안의 마카비가의 반란
- BC 129-63 하스모니안 왕국 안에서 유대인 독립
- BC 63 - AD313 로마제국의 지배 , 헤롯왕 통치
- AD 20~33 나사렛 예수의 목회
- AD 70 기원전1세기 로마에 편입 박해, 유대교성전 파괴되고, 디아스포라(세계로 흩어짐) 유대인 2000년 동안
- AD 70 예루살렘과 두 번째 성전 파괴됨
- 로마교황은 십자군을 보내 이교도 예수가 부활하고 지배하는 예루살렘을 원정
- 그러나 살라딘이 이끄는 이슬람군대에 패하고 예루살렘은 이후 약 700년간 무슬림의 성지가된다.
- 바리새파만이 현재 유대교의 뿌리
- AD 73 마사다에서 유대인 최후 항전
AD 210 미쉬나 ( 구전법 모음집 ) 완성
- AD 313 - 636 비잔틴 지배
- 390 예루살렘 탈무드 ( 미쉬나의 주해서 ) 완성
- 614 페르시아의 침입
- 636 - 1099 아랍 지배
- 691 이스라엘의 제 1,2 차 성전이 세워졌던 장소에 이슬람 바위사원 건설
- 1099 - 1291 십자군의 통치 : 라틴계 예루살렘 왕국
- 1291 - 1516 마믈룩 지배
- 1517 - 1917 오스만 제국 지배
- 1860 ~ 1948 이스라엘의 재건
- 1860 예루살렘 성곽밖에 최초의 유대인 마을 ( 미슈케노트 샤나님 ) 건설
- 1860~1923 알리야( 이주, 대규모 이주운동, 전 세계에 흩어진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이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로 복귀하는 운동)
- 1882 - 1903 제 1 차 알리야 ( 주로 러시아에서 )
- 1904 - 1914 제 2 차 알리야 ( 주로 러시아와 폴란드에서 )
- 1919 - 1923 제 3 차 알리야 ( 주로 러시아에서 )
- 1924 - 1932 제 4 차 알리야 ( 주로 폴란드에서 )
- 1933 - 1939 제 5 차 알리야 ( 주로 독일에서 )
- 1948 - 1952 유럽 및 아랍각국에서 대규모 이민
- 1897 테오도르 헤르쩰 , 스위스 바젤에서 제 1 회 시온주의 총회 개최
- 1909 최초의 키부츠인 데가니아와 최초의 근대적인 유대인도시 텔아비브 건설
- 1917 오스만 제국의 팔레스타인 지배를 종식과 영국 벨푸어선언
- 1918 - 1948 영국의 (신탁)통치
- 영국 , 벨푸어 선언통해 ‘ 팔레스타인에 유대인의 민족적 조국 건설을 보장 ' 한다고 약속
- 1차세계대전 종식과 오스만제국이 패전, 프랑스(시리아,..)와 영국(이라크,팔레스타인)이 분할통치
- 팔레스타인은 유대인과 이슬람인들이 섞여살게된다.
- 요르단서부의 팔레스타인은 영국 위임통치, 이때부터 유대인은 영국의 지원을 받으며 대거 이주
- 승전국 영국에 협력한 아랍의 하심가는 요간당 동쪽에 요르단왕국설립
- 1920 히스타드루트 ( 노동조합 ) 와 하가나 ( 유대방어조직체 ) 창설 . 유대인 공동체에 의해 국가 평의회 구성
- 1921 첫 번째 모샤브인 나할랄 창설
- 1919 - 1923 제 3 차 알리야 ( 주로 러시아에서 )
- 1924 - 1932 제 4 차 알리야 ( 주로 폴란드에서 )
- 1925 예루살렘의 히브리대학 스코푸스산에 설립
- 1929 헤브론 유대인들이 아랍군들에 의해 학살당함
- 1931 유대인 지하기구인 에쩰 창설
- 1933 - 1939 제 5 차 알리야 ( 주로 독일에서 )
- 1936 - 1939 아랍군의 반 유대 폭동 개시
- 1939 영국 백서 , 유대인 이민을 제한
- 1939 - 1945 제 2 차 세계대전 : 유럽의 유대인에 대한 대학살
- 1941 레히 지하운동 조직 , 에쩰에서 분리
- 1944 영국군 소속하에 유대인 여단 조직
- 1947 국제연합 , 팔레스타인에 아랍 . 유대인의 개별국가를 건설하여 예루살렘을 국제연합에서 분리
- 1948 이스라엘 건국 선포 (5 월 14 일 ), 영국의 통치 종료 (5 월 14 일 )
- 아랍 5 개국 , 이스라엘 침공 (5 월 15 일 ), 독립전쟁 (1948 년 5 월 - 1949 년 7 월 )
이스라엘 방위군 (IDF) 조직
- 1949 이집트 , 요르단 , 시리아 , 레바논 ( 이라크는 제외 ) 휴전협정 조인 , 초대 크네세트 ( 의회 ) 선출
- 이스라엘 , 국제연합의 59 번째 회원국으로 가입
- 1948 - 1952 유럽 및 아랍각국에서 대규모 이민
- 1962 아돌프 아히만 처형
- 1964 국립수로 완공 , 북부 키네렛호에서 남부 불모지로 물수송
- 1964 PLO(팔레스타인 해방기구) 결성
- 1948 ~ 1970 중동전쟁
- 1936 파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주민의 분쟁
- 6개월간의 대규모파업, 영국 팔레스타인독립과 유대인 이민방지 약속
- 이에 반발하여 이스라엘 극단분자의 영국 행정빌딩 테러 => 1947 유엔의 팔레스타인 분할안 채택
- 1948.5~1949.7 이스라엘 독립전쟁, 1차중동전쟁
- 1956 시나이 분쟁, 제2차 중동전쟁, 스웨즈운하
- 이집트의 구데타로 대통령이 된 나세르가 수에즈운하를 국유화선언하자, 영국 프랑스의 비호아래 이스라엘이 침공하여 순식간에 시나이반도 전체를 점령해버린다. 그러나 미소의 반대로 시나이반도에서 퇴각한다. 미국이 최강대국이 되었음을 입증하는 사건
- 1967.6.5~6.10 6 일 전쟁, 제3차중동전쟁 : 예루살렘 재통합, 영토확장
- 1967년 6월 5일부터 1967년 6월 10일까지 일어난 전쟁. 이집트의 티란해엽봉쇄 이에 격분하여 이집트의 공군을 괘멸하면서 시작, 이스라엘의 이스라엘이 이집트, 요르단, 시리아를 상대로 선제공격을 감행, 단 6일 만에 대승을 거두어 엄청난 영토를 획득했던 전쟁. 6일 전쟁이라는 별명으로 매우 유명하다. 아랍 측에서는 6월 전쟁이라고 부른다.
- 이집트의 가자지구,시나이반도,시리아의 골란고원,요르단의 동예루살렘과 요르단강 서안지구 획득
- 유대지역과 아랍지역의 예루살렘을 하나로 통합
- 1972 뮌헨올림픽테러, 이스라엘선수단9명 납치인질극
- 1973 제 4차 중동전쟁, 초기고전, 이후 미국의 도움으로 반전
- 시나이반도 반환요구를 거절하자 이집트 사다트가 소련등의 도움과함께 철저히 준비한후 주도적으로 시리아,요르단과 함께 이스라에공격
- 초기 고전, 시나이반도와 골란고원 잃고 고전 핵무기 사용까지 고려 이후 미국의 도움으로 반격하여 수에즈운하 및 시리아수도 다마스쿠스까지 위협하고 종전, 이후 캠프데이비드 협정으로 시나이 반도를 이집트에 반환
- 사다트는 사아리비아국왕에게 석유금수 조치 요청한달에 씩 감산=> 전세계 석유파동, 오일쇼크발생 경제위기초래
- 6일전재의 3배에 가까운 3000명전사
- 1974,75 시나이 협정
- 1978 캠프 데이비드협정, 카터,사다트,베긴
- 1979 평화협정, 이스라엘과 이집트, 81년 사열도중 이슬람극단주의자에게 사다트피살
- 1982 이스라엘 , 시나이로부터 3 단계 철수 완료
- 1979 이란 호메이니 공화정혁명,왕정와해, 반미,반이스라엘 전환,전운
- 1982 PLO해체를 위한 레바논침공, 레바논에서 쫏겨남, 이후
- 1984 총선 후 국가연립내각 형성 ( 리쿠드 - 노동당 ), 모세작전 수행 , 에디오피아에서 유대인이민
- 1987 팔레스타인의 대규모민중봉기, 1차 인티파다 시 탱크테 돌로공격, 6년간지속,
- => 하마스탄생(무장단체,이스라엘타파하고 이슬람국가건설)
- 1989 이스라엘 , 4 개조 평화안 제안 , 구소련 유대인의 대이민 시작 .
- 1990년초 소련해체후 무려 200만명 이주
- 1991 이라크의 사담후세인 , 걸프전 ,이가 팔에서 철수하면 우리도 쿠웨이트에서 철수하겠다며 공격
- 지대지 미사일로 이스라엘을 공격, 최초의 이 미사일 피격
- 1993.12 1년간 진행, 노르웨에 오슬로 협정(f라빈,아라파트) : 1)이스라엘 생존권인정, 2)팔레스타인 영토제공, 노벨평화상, 팔레스타인자치정부수립
- 1993.9월 오스로 I : PLO는 이스라엘 국가의 존재를 인정하고 이스라엘은 PLO를 팔레스타인 민족의 유일한 대표로 인정하는 합의안에 서명
- 1994년 5월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와 예리코의 통치권을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에 넘겼다.
- 1995.9 오슬로 II : 서안의 18% 팔레스타인 통치/치안, B 21% 팔 통치/이 치안, C 60% 이 통치/치안, 가자는 전부 팔
- 1995.12 협안대로 이군 철수
- 협정의 표류 :
- 아라파트가 하마스와 이슬람 지하드의 테러 행위를 막지 못하여 불신
- 라빈이 이스라엘 안보를 팔았다면 올스로협정의 악마화 => 급진 유대교청년 피살
- 1997.1 헤브론 협정 네타냐후,클린턴
- 서안지구 헤브론주의 80%(H1) 팔 통치 이군 철수, 20%(H2)을 이거주지역과 팔거주지역으로 분할하고 이군 주둔한다.
- 1997.3 동예루살렘에 이 정착촌 건설
- 7,9월 하마스 연쇄 폭탄테러 =>하마스와 지하드의 테러 차단을 요구했지만 아라파트는 오히려 연쇄회동하며 결속용으로 이용하고 이의 양보 용으로 이용
- 2001 샤론총리 예루살렘 성전상 출입으로 2차 인티파타
- 2005 오슬로협정에서 약속한대로 가자지구에서 이군 철수, 2년후 하마스가 차지하면서 악화 이스라엘과 무력충돌 야자간 수천면의 사상자발생
- 팔의 정차가 가자의 하마스, 서안의 온건파 아라파트로 양분되면서 서안에서 철수하면 서안도 하마스 수중에 넘어갈 위험이 있다.
- 예루살렘은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성지
- 아브라함이 가나안에서 우상숭배를 배척하고 유일신을 주창하면서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모태가 되었다.
- 기독교는 유대교에서 따르는 절대자의 계시의 전통과 역사성을 표방하였다. 때문에 학술적으로 유대교와 나중에 발생한 이슬람까지 포함한 세 종교를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라고 표현한다.[7][8]
- 유대교는
- 성서의 아담 23대손 아브라함의 4대손 유대의 후손 민족의 신앙으호 현재 1400만의 신도를 가지고있다.
- 유대교(Judea敎, Judaism)는 유대인의 민족종교[3]로 현재 약 1400만여 명의 신자가 있다. 하쉠[4]을 유일신으로 숭배하며, 토라[5]를 비롯한 타나크(히브리 성경, 구약성경) 25권[6]을 정경으로 인정하고 있다. 또한 탈무드를 비롯한 구전율법을 토라와 같은 권위를 가진 경전으로 취급하며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독교와 달리 예수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기에[7] 복음서를 비롯한 신약성경을 인정하지 않는다.
- 극소수 분파인 메시아주의 유대교를 제외하면 예수를 신으로 인정하지 않으며 오히려 예수를 사이비 교주로 바라보는 시선에 가깝다. 따라서 기독교의 구약성경에 해당하는 타나크, 즉 히브리 성경의 가치만을 인정하며 당연히 예수와 예수의 제자들의 행적을 기록한 신약성경은 인정하지 않는다.
- 기원전 10세기경의 이스라엘 왕국의 야훼교가 있으나 현대 유대교에는 간접적인 영향을 주었을 뿐 직접적으로 전해지지는 않았다.
기원전 5세기 경 바벨론 노예생활을 끝내고 돌아와 유대교는 성전을 재건하고
제사장이 된 레위지파 후손을 몰아내고 제사장 직분을 차지한 사두개파와
기원전 3~2세기경부터 헬라주의의 영향하에서 형성된 바리새파와 에세네파가 있다.
기원후 70년 로마제국의 이스라엘 저항 평정과 유대종교의 중심지인 예루살렘 성전 파괴, 반로마제국자들 축출로 친로마제국 성향의 바리새파만이 현재 유대교의 뿌리로 존속하게 되었다..
- 기독교는
- 성서의 아담 76대손 예수를 중심으로 유대교의 유대율법을 완화하고 3위실체등을 설파하여 신도를 확장한 신앙으로 24억명의 신도를 가지고있다.
- 기독교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믿는 종교다. 최소 24억명 이상의 신자가 있는 것으로 집계돼[2] 2위인 이슬람교(약 19억 명)보다 신도가 약 5억명 이상 더 많다.[3] 이슬람교, 힌두교, 불교와 더불어 세계 4대 종교로 꼽히며, 서양 문화권을 대표하는 종교다보니[4] 서양을 중심으로 인류의 사회 및 문화에 가장 큰 영향력을 끼친 종교로 평가받는다.[5] 가령, 21세기 현재 전 세계에서 보편적으로 통용되는 역법은 기독교의 신인 예수 그리스도의 생년을 기준으로 하는 서력기원이다.[6]
- 기독교의 경전은 성경으로, 크게 신약과 구약으로 분류된다.
- 성부 뿐 아니라 성자도 하느님으로 보고 신약성경을 정경[9]으로 인정한다
-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성부, 성령과 동일한 본성을 지닌 유일신으로 본다.[11] 이를 삼위일체론이라 한다. 이는 기독교 신앙의 핵심으로서 이단을 제외한 대부분의 기독교 종파가 공통적으로 믿는 교리이다.
- 예수(BC4~AD33)가 팔레스타인에서 설교 베드로,바울과 선교활동 이후 그리스 로마 그리스-로마 세계 곳곳으로 전파되었다.
- 유대인이 아닌자에게도 문호를 개방하기위하여, 유대인의 선민사상을 부정하고 유대인이 유대인의 울법이 아닌 우상 숭배의 금지, 목졸라 죽인 짐승의 고기를 먹거나 짐승의 피를 마시지 말것의 조건 만지키면 이방인에게도 문호를 개방하였다. 이로부터 유인으로 분리되어 기독교가 되었다.
- 이슬람에서는
- 이슬람교는 610년 무함마드가 창시한 종교이다. 이슬람이란 ‘유일신 알라에게 절대 복종한다’는 뜻이며, 이슬람신도를 무슬림이라 한다.
이슬람(اسلام, Islam)은 하나님(알라)을 유일신으로 믿고 알라 앞에 완전평등을 주장하고 형제애와 공동체성을 강조한다. 무함마드를 신의 사도로 여기는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이다.[3] 이에 "하나님 외에 다른 신은 없습니다. 무함마드는 그의 사도입니다."를 기본적인 신앙고백인 샤하다로 두고 지킨다. 이슬람을 믿는 종교인을 무슬림(مسلم, Muslim)이라고 한다.
세계 4대 주요 종교(기독교, 불교, 힌두교, 이슬람교) 중에서는 제일 늦게 등장했지만 신자 수는 다른 주요 종교 못지 않다. 오늘날 세계에는 이슬람의 모든 교파의 신자를 합하면 약 19억명의 무슬림이 존재한다.
- 예수를 신이 아니라 신에 의해 세상에 파견된 예언자의 하나로 보며, 예수보다는 최후의 예언자인 무함마드를 더 중요시한다. 물론 예수도 매우 급이 높고 존귀한 예언자로서 칭송하지만 알라(하나님)[10]와 동급으로 보지는 않는다는 것이 기독교와의 차이점이다.
- 수백년후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의 안내로 천국을 여행한후 이슬람교가탄생
- 유대인은 로마교황의 십자군의 원정으로 디에스포라되어 팔레스타인을 떠나고, 십자군을 물리친 이슬람군대의 시대가되어 이후 700년간 무슬림인의 성지가됨
-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의 안내로 천국을 여행한후 이슬람교가탄생 예루살렘성전에서 하늘로 승천
- 이후 예루살렘,메카,메디나는 이슬람제국의 칼리파들의 성지가됨
- 팔레스타인지역 예루살렘은 유대교가 1000년, 기독교가 300년, 이슬람교가 1300년간 지배
-
- 19세기 말 시온주의 :
- 반유대주의 가 생김, 프랑스 독이전쟁시 프로이센 유대인인장교에게 덮어씌우기
- 고향으로 돌아가 나라를 세우자는 시온주운동의 시작- 헤르츨의 주창 => 팔레스타인으로 이주시작
- 1차세계대전, 오스만제국이 패전, 프랑스(시리아,..)와 영국(이라크,팔레스타인)이 분할통치
- 승전국 영국에 협력한 아랍의 하심가는 요간당 동쪽에 요르단왕국설립
- 요르단서부의 팔레스타인은 영국 위임통치, 이때부터 유대인은 영국의 지원을 받으며 대거 이주
- 팔레스타인은 유대인과 이슬람인들이 섞여살게된다.
- 예루살렘은 유대교,기독교,이슬람교의 성지
- 제일먼저 탄생하여 유대교가 성전을 지었고,
- 예수가 부활하면서 기독교 탄생,
- 수백년후 무함마드가 천사 가브리엘의 안내로 천국을 여행한후 이슬람교가탄생
- 이스라엘 인구구성: 유대인 75% 아랍인 15%, 기타10% 정도
- 중동분쟁의 요인
- 팔레스타인 반환문제, 서안지구의 60만 유대인 정착촌문제, 예루살렘분할문제, 팔레스타인의 이스라엘내 자치정부 또는 독립문제
- 자료
.jpg) .jpg) .jpg)
- 1차독립전쟁 1948,이스라엘독립전쟁 56%=>75%,독립저지전쟁, 팔레스타인독립무장투쟁
.jpg)
- 2차 수에즈전쟁 1956, 니세르의 국유화선언, 선제공격으로 수에즈까지 점령, 미소의 압력으로 반환
.jpg)
-
- 3차티란해엽분쟁전쟁 1967, 선제공격,6일전쟁, 어마어마한영토확장, 예루살렘통합,팔레스타인통일, 시나이반도확장
.jpg)
- 4차, 사다트의 시나이반도실지회복실패전쟁 1973, 밀리고 밀러부치고 유엔정전결의로 정전, 캠프데이브 평화협정으로 시나이반도 반환, 팔레스타인영토통일, 팔레스타인의 가자/서안지구 독립무장투쟁계속
.jpg)
LIST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