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수지/일소/동고병/세균구멍병/순나방/선녀/매미충/씨살이좀벌/심식나방/진딧물[자원전체][과수이야기][농약/ 병충해]
- 과수수지병
- 순나방사진
- 미국선녀벌레/갈색날개매미충
- 복숭아 씨살이좀벌
- 복숭아 심식나방
- 진딧물
- 과수 수지병 방제
- 수지병 개요
- 수지병은 병.해충 피해나 일소(日燒), 동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며, 각종 병인(病因)에 대한 나무의 저항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먼저 발생 원인을 알고 난 후 그에 맞는 올바른 처방을 해야 한다,
- <해당 부위를 깨끗하게 해서 잘 관찰 해본다.>
- 수지병은 크게 일소장해, 전염성 병해, 비전염성 충해
- 1, 병해-세균성수지병, 줄기마름병(동고병), 부란병,줄기썩음병
- 2, 충해-유리나방(톱밥 같은 찌꺼기와 유지, 눈으로 보면 쉽게 보이는 편)
나무 좀벌레류(샤프심 굵기 정도, 길이2~3mm로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 수지병방제
- 충방제제(알타코아(유리나방등))+진균방제제(카브리오에이등)+세균방제제(부라마이신등) 100배(?) 희석하여 주간과 주지에 흘도록 흠뻑준다. 5초,9초
- 수지병은 동계 석회유황합제가 효능이 있다고 한다
- 수지병방제
- 유리나방 3~4월 유충이 나무속들어가 진액을 빨아는다. 수액분비
- 침투성살충제 스미치온 유기유화제 ib과 메프치온3a을 100배희석해서 1차 5하순~6월상순 2차 8하순~9상순에 주간과 주지에 흘러내리도록 흠뻑 준다,.
- 매실나무 수지병
- 병반 글어내고 살균/살충제 2배희석하여 상처부의도포하고 톱신페스트 도포한다.
- 핵과류(복숭아, 자두, 살구, 매실, 양앵두 등) 수지병(나무의 눈물) 한 방에 해결하기(농사의신)
- 숨비재제주농부 수지병에 걸리는 원인은 과다착과, 수세 저하, 냉해, 이식, 상처 등 여러 이유가 있지만 수지병이 한번 걸리면 걸린 가지는 치료하기가 힘이듭니다. 따라서 병에 걸린 가지는 깨끗한 단면이 나올때까지 자르고 도포제를 잘 발라줘야 나무가 살아요.
- 농사로 영농기술 수지병
- 수지병(증상)
복숭아 / 농산물재배기술
- 수지병은 병.해충 피해나 일소(日燒), 동해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하여 발생되며, 각종 병인(病因)에 대한 나무의 저항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먼저 발생 원인을 알고 난 후 그에 맞는 올바른 처방을 해야 한다,
- <해당 부위를 깨끗하게 해서 잘 관찰 해본다.>
- 수지병은 크게
- 1, 병해-세균성수지병, 동고병
- 2, 충해-유리나방(톱밥 같은 찌꺼기가 보이고, 눈으로 보면 쉽게 보이는 편)
나무 좀벌레류(샤프심 굵기 정도, 길이2~3mm로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 수지병은 석회유황합제가 효능이 있다고 한다
- 톱신페스트 수지병/부란병치료제
- 일소장해(日燒障害)
- 일소현상(일사광선에 과일이 데이는 현상)은 과실뿐만 아니라 원줄기(主幹),주지(主枝),부주지(副主枝) 등 일사광선을 많이 받는 부분에 발생한다. 과실이 일소를 받으면 열매껍질(果皮)이 갈색으로 변하고 오목하게 들어가 굳어지며, 종자의 일부가 갈색으로 변한다. 수세(樹勢)가 약한 나무에 결실량이 많을때 발생하기 쉽다.
- 일소장해의 방지대책은 토양을 깊이갈이하여 보수력(保水力)을 높여주고, 결실량을 조절아혀 수세관리를 철저히 하며, 큰 가지의 몸체가 직접 햇빛을 받지 않도록 장과지(長果枝)를 배치한다. 고온건조기에는 관수를 하여 수체(樹體)의 온도가 지나치게 높지 않도록 해준다.
- 줄기마름병(동고병)
- 증상
- 5~9월 강우습도가 높아지면 포자가 빗방울,바람에 의하여 분산되어 껍질에 부착되고 수세가 약하면 발병된다.
- 줄기함몰,목질부 감염부의 갈변,
- 주간,주지에 약액이 충분히 묻도록 살포
- 피해부위를 칼로 깍아내고 알코올로 소독하고 살균제를 발라준다.병원균이 오랜동안 나무에 기생한다. 늦가을 나무 접지부에서 30cm정도 높이에 석회유황합젤 원액을 발라준다. 네이버백과사전
- 발병이 확인되면 병반 부위를 제거하고 석회유황합제 원액을 뿌리거나 톱신페스트 등으로 도포한다. [출처] 수지병(증상)
-
- 세균성구멍병
- 잎에 수침상의 작은 반점이 생겨 점차 확대되어 갈변하며 시간이 지나면 갈색부위가 탈락되어 구멍이 뚫리게 된다.
- 4월 중순에 발생하여 6 - 7월경에 최성기에 달하고 , 10월경까지 발생한다.
- 방제: 월동직후 석회유황압제를 살포, 생육기에는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발리다마이신에이 수용제 등 항생제 계통의 살균제를 정기적으로 살포한다 .
  
- 복숭아 세균구멍병 방제정보 SG한국삼공
.jpg) .jpg)
- 아이씨보르도 -66D(5kg) 100배희석
- 순나방 사진
- 순나방 패해/벌레/피해과/과속애벌레/알과부화, 동녹현상,노린재침/눈물, 열과, 쌍좌과
- 미국선녀벌레, 갈색날개매미충 흰가루정체
- 복숭아씨살이좀벌 복숭아씨살이좀벌
- 개요
- 복숭아씨살이좀벌은 매실, 복숭아, 자두 등 핵과류의 씨앗 속에 알을 낳는 습성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 2010년 무렵부터 남부 지역의 매실 주산 시‧군에 발생해 매년 피해를 주고 있습니다.
- 생활사
- 애벌레(2월) → 어른벌레(3~4월) → 알 낳기(4~5월), 1마리가 100여 개 알을 낳음
- 알에서 깨어난 애벌레는 열매 속에서 씨방을 갉아 먹으며 성장하여 수확기 무렵 열매 겉껍질은 갈색으로 변하고 함몰하는 피해가 발생합니다.
- 방제방법
- 피해가 심한 과원에서는 과실 크기가 1cm 정도 되는 시기(서산 5.3~8부근)부터 어른벌레의 발생을 관찰하면서 5~7일 간격으로 2~3회 등록약제 살포합니다.
- 어른벌레의 알 낳는 시기를 확인하여 가급적 발생 적기인 맑은 날 오전(10~12시)에 공동방제해야 합니다.
- 어른벌레는 오전 10시부터 정오까지 주로 활동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 약제를 뿌리면 몸에 많은 살충 성분을 묻힐 수 있어 방제 효과를 더 높일 수 있습니다.
- 복숭아씨살이좀벌은 어른벌레 기간을 제외하고 알, 애벌레, 번데기 기간은 씨앗 속에서 살기 때문에 약제를 살포해도 방제효과가 낮으므로 어른벌레가 어린 과일 속에 알을 낳는 시기에 맞춰 집중 방제
- 등록약제
복숭아씨살이좀벌 방제 약제 정보는 농촌진흥청 농약안전정보시스템에서 등록 농약을 검색
매실 복숭아씨살이좀벌에 등록된 약제를 사용(아세타미프리드 수화제, 티아클로프리드 액상수화제, 설폭사플로르 입상수화제)
-
.JPG) .JPG)  .JPG)
- 복숭아심식나방
- 대추 꽃피면 10일간격으로 3번이상
- 청도농업기술
- 성충은 체장이 7∼8mm이고 앞 날개는 회백색이며, 난은 직경 0.3mm 정도의 납작한 원형이고 적색이다. 유충은 방추형이고 몸은 등색이나 사과나 배를 먹은 것은 몸 빛깔이 엷고 복숭아나 대추를 먹은 것은 진한 경향이다.
- 제 1세대 성충 발생이 대체로 6월 상중순경 이므로 산란 후 알이 부화하여 과실에 침입하기 전인 6월중하순경부터 10일 간격으로 2~3회 등록약제를 살포하고, 2세대는 8월 중순부터 10일 간격으로 1~2회 약제를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 복숭아순나방
- 나비목/잎말이나방과, 연4~5회발생, 1
- 증상 : 신초끝이 말라죽는다. 피해가지 안쪽은 비어있고 애벌레가 들어있다.
- 1~2세대에서 철저한 방제가 필요하다.1g 성충은 4월 중순~5월에 나타나며, 2g는 6월 중하순, 3g는 7월 하순~8월 상순, 4g는 8월 하순~9월 상순에 다 발생 하고, 일부는 9월 중순경에 5g 성충이 나타나나, 7월 이후는 세대가 중복되어 구분이 곤란하다.
- 산란하는 시기인 6월 이후에 2∼3회 전문약제를 살포해야 하며, 복숭아심식나방과 동시방제가 가능하다. 9월∼10월까지 사과, 배의 과실을 가해하는 수가 있으므로 이때 발생여부를 잘 예찰하여 방제대책을 세워야 한다.
- 팜한농
.JPG) .JPG)
- 진딧물
- 성충, 약충이 어린 잎이나 잎의 뒷면에 떼를 지어 즙액을 빨아먹어 식물체가 위축되어 생육이 정지되는 직접적인 피해보다는 113 종의 식물바이러스병을 옮기는 간접적 피해가 더욱 심각하다. 잎이나 줄기는 물론 꽃이나 열매 등에도 기생하여 즙액을 빨아 먹음으로써 식물체의 양분이 소실되고 잎이 오그라지거나 말리는등 변형이 되기도 한다.
- 피해 : 영양분 흡즙, 각종 바이러스 옮김, 끈적한 배설물 피해 개미가 있으면 x,
- 진딧물종류 :
- 방제3방법 : 1)흡즙한는 식물에 침투시켜 그독을 먹고 죽게 한거나, 2)독이 곤충의 각질을 뚫고 들어가 변태등 성장을 억제하여 죽이거나 3)곤충의 기문을 막아 숨을 못쉬게하여 죽인다.
.JPG) .JPG)
LIST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