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체리 병충해 년중 방제[자원전체][과수이야기][체리나무]

  • 체리방제
    •  
      • 주요병해충:잿빛무늬병, 유과균핵병,궤양병,세균성구멍병,갈반병,깍지류/이끼류
      • 나무, 토양, 풀 방제: 토양 또는 식물잔사물의 균사/포자
    • 동계 2중    : 해조추출물 동물성아미노산(동해예방)
    • 동계 2말 : 석회유황합제, 나무, 토양, 풀 방제: 토양 또는 식물잔사물의 균사/포자
      • 석화유황합제 1.6L/20L
    • 개화전(풍선기) 4초(4.10이전) : 잿빛무늬병(디코페코나졸) + 해조추출물,동물성아미노산(개화냉해방지)
    • 만개시 만개시(열매 80~90% 착과)  벌피해 없는 살균제(잿빛곰팡이병)살포
      • 만데스 
    • 낙화후(4중말)          : 잿빛무늬병, 세균성구멍, 궤양병 + 살충제(나방류/깍지/선녀벌레)
      • 종합살균제 만데스(액상수) +  세균성살균제 부라마이신(수) +살충제(진딧물/깍지) 트랜스폼(액상수) + 나방총채응애 섹큐어(액상수) 
      • 종합(진균)살균제 : 잿빛곰팡이,균핵병,탄저병,갈반변 => 만데스 : 다, 사1 디코페코나졸 수화제 
      • 세균성살균제     : 세균성구멍병,궤양볍                => 부라아이신 : 라4 스트렙토마이신 수화제
      •  
      • 살충제 : 깍지,선녀벌레,진딧물,노린재,갈색날개매미충 => 트랜스폼
      • 나방제: 나방류, 총채,갈색날개매미충,복숭아순나방,점박이응애 , 유리아방X=>섹큐어(클로르페나피르)
      •  
      • 살충제: 깍지, 진딧물,선녀벌레,총채,갈색날개매미충,총채벌레      => 팡파레에스 액상수화제
      • 나방제: 나방류:복숭아순나방,복숭아심식나방,복숭아순나방,유리나방  => 알타코아
  • 방제
    • 치명적인 3가지 : 잿빛곰팡이병, 노린재,초파리, 유리나방 수지병->세균성 궤양
    • 체리균 방제
      • 월동전(11월초중):월동전에  낙엽진후 11초중  월동균밀도 떨어뜨리기위해 광범위살균제 방제하면 좋겠다.
      1. 월동후(2.15~20): 기계유제,석회유황합제  꼼꼼히 월동균밀도 떨어뜨리기
      2. 개화기전, 풍선기(4.10전에)  살균제살포(잿빛곰팡이병)
      3. 만개시(열매 80~90% 착과)  벌피해 없는 살균제(잿빛곰팡이병)살포
      4. 수정후 1~2주후 (꽃이진후)  살균제(잿빛곰팡이병)+살충제(노린재,초파리)
      5. 수확전3주이전에                살충제(노린재,초파리)
      6. 수확후 1번 갈반병등
      • 살균제 : 만데스
    • 라이몬:체리(복숭아순나방):발생초기3회,복숭아심식나방,파밤나방
    • 팡파레이스 : 노린재,갈색날개매미충,
    • 만데스 : 체리(탄저병,갈색무늬병, 잿빛곰팡이병) : 발생초기 2회
    • 방범대 수화제 살균제 팜한농] 체리(세균성구멍병)
  • 체리충 방제
    • 해충이 발결되는 대로 방제해야하다.
    • 수확기 노린재,초파리               살충제
    • 유리나방 수지병=>세균성궤양   관찰,제거
    • 라이몬+팡파레이스
  • 내용
  • 체리재배기술(4) 체리병해 경김정필 농촌지도사 북농업방송/ 경주시농업기술센터
    • 동해피해,곤팡이, 증산/원인/대책
    • 수지병(Gumois), 수지균병
      • 수지병(현상) Gumois

        • 증상: 주지/주간에 투명한 젤리모양 수지분비, 5~6월부터 7~8월(심) 원인:
        • 생리적 원인 : 질소과다, 수세 약,강전정,배수불량(과습), 뿌리가 큰데 지상이 너무작은경우
          •  수지부분 긁어내고 도포해주면 치료된다.
        • 복숭아유리나방 피해
          • 땅에서 월동하고 애벌레가 나무속으로 뚫고들어가서 나무내부를 헤집고다니면 나무가 대부분 고사한다. 지재부(땅근처)에 구멍이 나있는 부위가 있으면 긁어내고 유리나방애벌라 있으면 잡아죽이고 도포한다.
          • 장마철 침수로 배수불량과원 또는 직사광선에 의한 수피조직 부분괴사
        • 대책
          • 재배 비배관리, 긁고도포제(유합제), 유리나방잡기, 백색페인트 이용, 동계 석회유황합제 충분히 살포

        수지균병

        • 증상 : 2년생이상 주지/주간에서 발생, 병반이크다. 병반구표피밑 적갈색
        • 원인 : Pseudomnas syringae pv.(세균의 일종)
          • 상처나 병환부로 침입, 전정상처, 고사된눈
        • 대책 : 상처부위 도포제(유합제), 부위를 깍아내면 안쪽에 보인다.
    • 괘양병
      • 세균에 감염된 경우
    • 잿빛곰팡이병(회색미병, gRAY MOLD)
      • 증상 : 잎, 꽃, 과실에 발생, 열매가 검어 지면서 낙과, 주로 성숙과에 발생, 열과 후 발생, 숙기에 저온이지속될 때 발생,
      • 원인 : Botrytis cinerea Persoon ex Fries 곰팡이, 생육온도 10~30도, 적온 15~20도
      • 대책 : 균형시비(질소과다피), 만개3일후, 착색기 살포, 비오기전 습도 높을때 예방살포, 잿빛무늬병과 같이 방제, 동계,풍선기,만개기,수정후 광범위살균제 살포
      •    
    • 세균성구멍병(Bacterial shot hole)
    • 탄저병(Anthracnose)
      • 증산 : 잎,신초, 주로 과일에서 발생, 초지 검은점, 다갈색반점 병반 함몰 다홍색 끈적한 포자덩어리, 주로 어린과실보다 성과에서 발생
      • 원인 곰팡이균, 새육가능온도 10~30도, 최적 20~28도
      • 대책 : 전년도 감염원 제거, 동계 석회유황합제 살포
        • 감영과실즉시제거, 비오기전 예방살포  약제
    • 갈색무늬병(갈반병, 천공병, (Leaf spot, Brown shot hole)
      • 증상:
        • 잎에 검은(?)점이 샐기고 점점 노래지고 떨어진다. 잎, 주로 습도가 높을때, 엽육조직 탈락, 황병후 낙엽 내년 수세에 영향, 화아분화부실, 과수(사과)에 전반적으로 발생,
        • 원인 곰팡이, 5~6월발생 7~8월까지피해, 9~10월 황낙
        • 수목 열간 사이 골로 순간 배수가 잘되어야한다. 나무 주변에는 물이 고이지 말아야한다. 뿌리감물에잠기면 엽소현상,갈반/탄저병등 모든 병이 발병, 황화현상과 구분되어야한다.
      • 대책
      • 황화현상
        • 증상 :
          • 엽록소합성에 이상이 생겨서 잎이 누렇게는 현상,
          • 뿌리가손상 또는 영양분이 부족해지면 영양생식을 줄이고 생식생장에 몰두한다. 즉 나무 수관 안쪽부터 잎을 누렇게 만들고 떨어뜨리고 가능한 모든 영양분을 과일로전달한다.
        • 엽록소구성성분 부족: 질소,마그네슘,칼류,철,망간, 수분부족,이상기온,도극물 등
        • 영양소결핍 :1)질소결핍 : 잎의황화현상 2)칼륨결핍 : 엽맥사이와 잎끝이 황화하고 갈변 등등
      • 엽소현상
        • 엽소증상은 잎의 일부가 타들어가는 듯한 형상으로 마르는 증상을 말합니다.
    • 잿빛무늬병(회성병, Brown shot)
      • 증상 : 꽃이 갈색으러 부패, 수정된후 낙과
      • 대책 :잿빛곰팡이병과 동시에 방제
    • 흑색곰팡이병
    • 유과균핵병 Yong-fruit rot)
      • 증상: 주로 어리과실, 과실은 균핵을 형성, 과실낮개로 발병
      • 원인 : 곰팡이. 촤적온도 20도, 30도이상정지, 90%이상 높은습도
      • 대책:해에따라 심해진다. 병원균감염결로 차단(예방)
        • 개화기 전후로 예방방제
    • 노균병
  • 체리재배기술(5) 체리충해 경북농업방송
    • 보이는 대로 친다.
    • 응애
      • 증상: 잎뒤면에서 흡즙, 바늘로찌른듯한 흰색점무늬, 심하면 잎기능상실
      • 생태: 8~10세대, 나무껍질속에서 월동, 5월말부터 7-8월 촤고발생, 5월경건조따뜻해지면 기승
      • 대책 : 석회유황,기계유제, 보이면 약액이 잎뒷면에 골고루 문도록 살포
      • 내눈에 1~2마이보이면 수백마리 잠복
      • 2세대만지나면 감당불가능 
    • 복숭아유리나방(cherry tree borer)
      • 증상:
        • 유충이 가지와 줄기부분 껍질밑을 가해(형성층식사)
        • 군데군데 벌레똥/수지가 나와 있어 흔적을 남김
        • 어린놈이면 똥도 가늘다.
      • 생태
        • 일년 1회, 4월결활동시작, 유충이 자랄수록 깊이들어가 방제가 어렵다.
        • 이천에서 1세대는 5월 하순에, 2세대는 8월 하순부터 9월 중순
        • 나무줄기를 먹고 사는 유리나방은 성충이 줄기 틈에 하나씩 알을 낳는데, 알은 약 10일 후에 부화해 줄기 속으로 들어가 피해를 준다. 일단 유충이 줄기 속으로 깊이 들어가 가해를 시작하면 약제를 뿌려도 죽이기 어렵다.
        • 따라서 복숭아 재배 농가에서는 성충이 낳은 알이 부화하는 시기인 9월 중‧하순에 유리나방 방제용 살충제를 줄기에 잘 묻게 뿌려 애벌레가 줄기 속으로 파먹고 들어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 해마다 피해가 심했던 농가는 이 기간에 1주일 간격으로 2~3회 연속 살포하는 것이 방제에 효과적이다.
      • 대책 :
        • 월동후 초기에 침투성 살충제 살포, 수확후에도 계속 유충잡아준다(어렵다), 비온후에 수피가 부드러워 조금쉽다.
        • 성페르몬제나 교미교란제사용 권고
        •  
      • 형태
        • 벌모양, 지재부부근에서 알을 나면 애벌레가 가지를뚤고들어가 형성층을 헤집고다닌다.  뚫고들어간곳에서 수지가 나온다. 수지 부분을 긁어내면 애벌레가보인다. 애벌레를 잡아내고 톱신페스트발라주어야한다.

        •  
    •  뽕나무깍지벌레(white peach scale), 복숭아순나방((oriental fruit month)  
        • 뽕나무깍지벌레(white peach scale)
          • 증상:줄기/가지에서 흡즙,  흰색비늘모양을 한것(암수 같이부착)
          • 생태: 일년3~4회 6,8,10월 발생, 수컷은 단명(1주) 암컷은 가지에 고착 흠즙 대책 : 월동기계유유제
          • 대책
            • 부화시기에 전용약제살포
            • 깍지를 형성하면 방제 효과떨어집
          • 빈도는 약하지만 발생을 방치하면 나무수세가 급격히 떨어진다.
        • 복숭아순나방((oriental fruit month)
          • 증상: 유충이 신초선단을 먹어 선단부가 부러져서 고사한다. 이떄 똥이 배설되어 지저분하게되므로 쉽게 발견된다. 성충의 크기가1`~2mm 정도로 작다.
          • 생태: 년 4~5회, 4~9월발생(22~29일/세대, 알 100개), 수컷은 단명(1주) 암컷은 가지에 고착 흠즙
          • 대책:
            • 거친 수피속에서 월동(제거), 생육기(살란기)에 약제살포
            • 포획트랩을 이용하여 몇마리이상되면 약제살포 ...

         

    • 체리초파리(Cherry drosophila)  
        • 체리초파리(Cherry drosophila)    
          • 증상: 과실내부에서 종자 주변가해, 성숙과일 안에 산란하고 부화되어 애벌레가 안에서 과육가해, 열매안에 구데기처럼
          • 생태: 년1~3회, 낙엽등에서 월동, 성충 5~6mm, 6개월 갈색반점
          • 대책: 늦은수확보다 적기수확, 수홧시기라 약제살포 어엽다. 
            • 물에담그면 애벌레가 기어나온다. 피해과일은 물에담가 탈출전에죽인다. bad
            • 열매에 구멍이 있는지 검증,  열매을 가려내어 버린다.
            • 늦게나오은 과일에 많아진다.
         
    • 키 포인트
      • 혼식 방지
        • 콩, 깻닢등을 체리옆에 심으면 피해 입은수있다. 추비/물등 때문에 웃자람, 노린재등 발생이 심해진다.
      • 출하방법
        • 포장, 등등...
LIST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