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체리 결과습성 / 측지(결과지)갱신[자원전체][과수이야기][체리나무]
(1)체리 결과습성
- 개요
- Cherry Training systems(OSU)
- KGB Training System 요약 pdf
- 핵과류 체리는 2년 결과습성을 갖는다.
- 가지가 1년 잎눈이 자라고 2년차에 화속(꽃눈)이 만들어지고 3년차에 결실이된다.
수세안정화 되어야(가능가지) 꽃눈이 형성된다. 과도하게 굵은면 잎눈만 형성된다.
- 특정 대목의 체리나무 또는 왜성(weak-to-moderate vigor)재배에서 기본결실단위(시간)은 3년(season)이 걸린다.
이기간에 2종의 결실부위(fruiting-spur,non-spur) 및 3종의 나무잎(홑잎,복잎,복과잎)으로 구성되는 결실구성요소가 모두 완성된다.
- 1년차 발육지(신초) :
- 1년차에 새로나온 신초(발육지,자람가지)는 성장하여 노드(마디)를 만들고 큰 잎(single leaves)을 맺는다.(그림 2).
- 2년차 비결실단과지:
- 2년차에, 이 마디마다 6~8개의 잎을 갖는 비결실단과지(non-fruiting spur)를 형성한다. 선단의 잎눈은 새로운 1년차 발육지로 성장한다. (그림3)
- 다만 기부의 몇몇 노드는 잎눈이 없는 홑눈을 만들고, 개화하여 착과하지만 잎눈이 없으므로 착과후에는 잠아가된다.
- 2년차 성장시즌에 비결실단과지(non-fruiting spur)의 잎 겨드랑이에 꽃눈을 만듭니다. 따라서 3년차에 이 노드(마디)들은 품종,활력 위치에따라 6~8개의 잎과 1~10개의 꽃봉오리를 갖는 결실단과지(단결과지)가 될 잠재력을 가지게 된다.(Fig4. )
- 3년차 화속상단과지:
- 3년차에, 비결실단과지에서 형된 액아에서 화속이 터지고 개화하고 결실하는 결실단과지가 된다.
- 3년차 노드들은 품종(variety), 세력(vigor) 및 단과지(spur)의 위치에 따라서 단과지마다 6~8개의 잎과 1~10개의 꽃눈(화속)이 되어 결실화속상단과지(fruiting-spur)가 된다.(그림 4).
- 3년차가지의 선단부 쪽의 단과지가 기부 단과지보다 더 많은 화아를 갖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러한 단과지는 빛과 영양이 잘 관리된다면 수년 동안 많은 결실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 그러나 최고 품질의 열매는 어린단과지에서 열리고, 한 결실단위(fruiting unit, 단과지) 내에서는 기부측 꽃(non-spur)에서 형성된다.
- 따라서 많은 교육 시스템은 최적의 과일 품질을 위해 이러한 결실단위(fruning unit)를 갱신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 체리 측지의 결과습성
- 1년생가지(신초 발육지) : 홑잎눈(엽아) 만으로 이루어진 발육지이다.
- 2년생가지(비결실단과지) : 지난 해(1년생) 가지 마디에 6~8의 겹잎과 액아가 형성된다. 기부에 한두개의 순정화아는 결과한다.
- 3년생가지(화속상단과지) : 2년생의 꽃눈에서 결과한다.
- 측지(결과지)의 갱신방법
- 측지(결과지)는 주지에서 30~40cm 간격의 측아에서 형성한다.
- 연장지가 나오지 않으면 갱신한다.
- 기부를 남기고 절단하여 새로 나오는 신초(측아)를 측지로 만든다.
- 참고자료
- 체리재배 핵심기술(문병우).pdf
- 체리의 결과습성(날라리)
- 갱신대상 결과지 : 연장지가 안나오는 가지
- 갱신방법 : 갱신지의 기부의 눈만 남기고 절단하여 새로운 신초를 만든다.
- 주간, 주지,결과지(부주지 또는 측지), 결과지에서 연장지가 안나오면 갱신대상, 보통 4년된 가지
- 엽과비 : 주지단위 엽과실의비율
- 여름전정, 수확후에 바람/햇빛, 중앙가지 절단, 결과지는 X 체리
LIST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