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과수재배/수형/식재/전지전정/ 밤나무묘목[자원전체][과수이야기][대추/감/자두/블루베리]
- 과수재배기초 (여수시 농업인대학 과수재바 과정) 서창석
- 나무의 공통 특성-과종,품종별 결과(結果) 습성 :
- 그해 발생하는 가지에서 착과되는 과종 :감,대추,포도,밤,오디
- 1년생 가지에서 착과되는 과종 : 복숭아,자두,매실,살구
- 2년생 가지에서 착과되는 과종 : 사과,배,모과
- 나무의 구성요소
- 과수재배 기초 3편 - 과수의 수형
- 과수의 수형
- T/R률(Top/Root rate)과 수형의관계
- 주간형 - 심근성 - 사과,대추,배,감나무- 변형 ->변칙주간형,새방장추형
- 개심형 - 천근성 복숭아,자두,매실,살구,체리 - 변형=>개심자연형,...
- 주간형, 변칙주간형, 개심자연형
.JPG)
- 묘목 선적
- 품종 :
- 대보 : 9월말,18brix, 25g, 6mx3m 18주/100평 특묘:5,500원 경민농원 충북 옥천군 이원면 이원로 835
- 왕유밤(포르단) 25~30g,9월말~10월초, 5mx5m 15주/100평, 1주/6.6평
- 15,옥광,포르단(홀라당밤,군밤용), 묘목 4~8천원
- 식재
- 밤나무묘목
- 대성농원 25g, 5000/대보특묘, 6000/왕유밤(포르단)특묘, 왕유밤(포르단) 5mx5m (15주/100평)
- 결실주
- 농업회사법인 대림묘목농원(주) 6000/대보, 7000/수락밤 이원면 이원리 494-5
- 매실 2년생 1, 밥4년생 1주,
- 묘목의 용어(성실농부)
- R1(1점) : 땅에붙은 나무의 지름(Radius)
- B1 : 가슴 높이 90cm의 나무지름(Breast)
- H45 : 나무높이 45cm(Height)
- W50 : 나무넓이 50cm(Width)
- 삽목1년생:삽목후 1년자란묘목,
- 실생2년생: 발아후 2년자란묘목,
- 휘묻이 2년생:가지묻이를 통해서 뿌리를 내린다음... 원 가지에서 자라낸 가지를 1년 더 키운 것
- 분지묘 : 원래 나무의 뿌리 어느 지점에서 돋아난 가지를 묘목으로 키우는 것
- 분털이 : 나무 묘목을 캐낸 후 뿌리에 붙은 흙을 털어버리는 방법
- 분뜨기 : 나무 묘목을 캘 때 최대한 뿌리에 흙을 붙여서 가는 방법
- 양생 3년: 분뜨기를 한 후 다시 땅에 3년동안 묻어서 햇뿌리를 살려낸 후 판매하는 묘목, 살리기어려운 소나무
- 수형 :
- 독립수형 : 돋아난 가지 중 외가지 하나만 두고 키우는 형식, 가로수
- 다간형 : 뿌리에서 올라오는 가지 전체 혹은 여러 가지를 한꺼번에 키우는 형식,베리류, 키가 작은나무
- 구매방식 :
- 목대: 일종의 밭떼기 형식 매매, 묘목 비용만 지불하는 매매
- 상차대 : 경우에는 나무 묘목을 캐는 작업비를 포함한 매매, 분털이/분뜨기 모든 작업+묘목비용 포함된 매매
-
- 실생묘/삽목묘/접목묘/포트묘/분묘

- Ep07. 나무 언제, 어떻게 심을까요? 나무심기 총정리!
나무 2배 빨리 키우는 방법 - 2. 검정비닐멀칭 (비닐멀칭 방법, 잘못된 비닐멀칭, 나무가 잘 자라는 이유, 비닐멀칭의 효과)
묘목 식재 후 이 시기(4월)에 해야 할 것은? (나무 빨리 키우는 방법-1)
- 심는시기 : 동면기,10월말단풍들기시작 ~ 4월까지, 포트상품은 여름도가능 그러나 좀더자주 물을 주어야
- 식재준비 (왕자두나무)
- 꺽기거나 상한뿌리 , 너무긴뿌리 정리
- 접목테이프제거
- 너무 큰나무는 자르고( 1M 30cm,고라니땜시), 절단면은 수목보호제 바름, 예,신기요나루
- 식재
- 구덩이는 뿌리크기보다 크고, 깊게, 여유롭게 파고
- 뿌리가 구겨지지않도록 넣고
- 흙은 절반이상 채우고 아래위로 흔들어서 흙이 뿌리에 골고루 자리잡게한다. 흙이 딱딱하면 부드럽게해서
- 나무를 똑바로세우고 접목부위까지 흙은 채운다.
- 물조임한다. 물집(뿌리쪽으로 물이 모이도록) 만들고, 물을 흠뻑주어 뿌리와흙이 완전 밀착하도록 죽쑤듯이 물을 충분히주고 잦아들게한다. 충분히 많이준다.
- 다시 흙으로 접목부위 밑까지 묻는다. 접목부위는 묻지말아야한다.
- 검정비닐로 멀칭한다.
- 검정비닐멀칭 : 과습방지, 보습기능, 물안줘도OK,장마시에도 OK, 생육2~3배빠르다. 두께 0.02mm 폭(90~120cm) 비닐 사용 cf.볓짚 또는 부직포로 덮어주기
- 수분유지, 잡초억제등의 효과 다시 물을 줄 필요는 없다.
- 접목부위는 묻지말아야한다.
- 묘목식재후 4월경 하단부 2/3이하의 신초는 수시로 제거한다.
- 상단 약 1/3, 30cm정도의 신초들만 주지로 성장시킨다. 나머지 하단부 2/3이하의 신초는 수시로 제거한다.
하단부의 가지가 가지는 기부우세성의 강한 세력을 제거한다. 불필요한 양분소모를 제거한다.
=> 폭풍성장유도
- 접목부위는 노출되어야한다.
-
- 기타
- 과수재배 기초 4편 전지(1)
- 전지의 목적 = 가지간세력조정 및 품속의 햇빛이 잘들도록 꽃눈형성이 잘되도록하기위함
- 정지전정 = 정지(整支) + 전정(剪定) = 전지 , 整支 : 가지런할정, 剪定 : 자를전 정할정
- 꽃눈형성 - 정지(가지정리하기)로 - 도장지제거 화아개화기 : 7-8월
- 정지 - 가지정리(솎은전정) - 불필요한 가지 제거 -그늘,세력의균형파괴-도장지(햇빛과양분을 도둑)
- 시기: 초아때부터 판단되면 실시, 통상 화아개화기(7,8월), 또는 휴면기(12-3월)
- 세력비율, 주지,부주지=7:3, 부주지:측지 =7:3
- 도장지를 제거, 주지보다 강한 부주지, 부주지모자강한 측지를 제거한다.
- 가지의세력조정 - 전정(가지자르기) => 동계전정 휴면기(12-3월)
- 전정 - 세력조정(자름조정)
- 강전정 : 가지 잘라내는 량크게 : 신초가 크게 자람 : 성장용가지
- 약전정 : 가지 잘라내은량 작게 : 신초거 작게자람 : 열매용가지
- 골격지(주지)는 강전정, 결과지는 약전정 - 동계전정 휴면기(12-3월)
- 개심자두나무의 전지예
- 정부(頂部)우세성의 원리, 정수리부분, 정아(頂芽)부 , 정수리싹, 묘목에서 더 강함
- 하나의 가지에서 가장 높은 눈에서 자란 가지가 세력이 강하고, 아래로 내 갈수로 약해지는 현상, 잠아가 될수도, 명년에 분명히
- 개심자두나무의 60cm 전지
- 정바에서 초아지들이 정부(頂部)우세성의 원리에따라 신초는 고점에서 더 크게 자란다.
-
- 정부우세성 사례 :
- 강전정 전지후, 정아부에서는 명년에 성장지로, 하단에서는 열매지로 생장하는 대표적인예
- 초강전정의 경우는 정부우세성이 약해진다.
- 아래로향한경우 거점에서 우세
.JPG)
- 과수재배 기초 5편 - 전지(2) 기부(基部)우세성 가지의 기부에서 발생한 가지가 점차(해가지날수록) 세력이 강해지는 현상
정부우세성은 당년에 발생 기부우세성을 점차적으로 적용된다.
- 주지들의 세력 균형을 맞추려면 전지 ?
- (X) 3가지의 위치가 간다면 : 1번:강전정, 2번:중간,3번:약전정
.JPG)
- (X) 3가지의 의 중간을 전정하면
- 장기적인 세력 균형을 맞추려면 1년차동계전정(정답)
- 묘목을 심고 첫겨울 1차동계전정은 기부우세성에 기초하고 다음해 초아의모습
- 2년차 동계전정
- 2년차동계전정 및 다음해 초아 모습, 황색:1년차전정, 적색:2년차전정
- 2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강의
- 정지(整支) - 가지정리(솎은전정) 제거 대상 찾아 제거, 햇빛과 통풍을 위하여, 병충예방
- 도장지 : 빛
- 내향지 : 빛
- 교차지 : 마찰
- 너무낮은 하향지
- 배쪽에 있는 가시화된 잔가지 제거
- 전정(剪定) - 연장지(주지)와 측지를 결정하고
- 측지(부주지)가 분명이 주지보다 가늘면 살려두고 세력이 강하면 제거한다.
- 제1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강의
- 전지 = 정지전정=정지(整支) + 전정(剪定)
- 정지(整支) : 가지정리, 속아내기
- 나무가지를 기부(가지시작부분)에서 잘라서 가지자체를 없애는 것
- 전정(剪定)
- 나무가지의 길이를 목적에 맏도록 일부분 만 자르는것
- 약전정 : 조금 잘라내기
- 강전정 : 많이 잘라내기
- 전지 : 불필요한가지를 솎아내내서 없애고 강하게 키울 가지와 열매를 달리게 할 가지를 구분해서 필요에따라 일부분을 잘라내버리는 작업
- 수형
- 개심자연형(開心自然形) : 중심이 열려 햇빛이 골고루 잘 듣도록 까대기 모향을 한 수형
- 생장
- 생식생장 : 잎과 빛으로 광합성으로 탄소동화작용을 일으켜 양분을 흡수서 신초(새로운가지)를 성장시키소 열매를 크게하는 것
- 매실 열매가지 가지치기 방법 2부 - 매실 결과지(단과지, 중과지, 장과지) 전정방법
- 과수재배 기초 6편 - 전지시 고려할 사항
LIST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