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과수재배 기초(이론)[자원전체][과수이야기][대추/감/자두/블루베리]
- 과수재배의 기초 달콩이네농장 서창식
- 과수재배 기초 1편 - 여수시 농업기술센터 강의 내용
- 과수재배 기초 2편 - 과수재배의 핵심은?
- 과수재배 기초 3편 - 과수의 수형
- 과수재배 기초 4편 - 전지(1)
- 과수재배 기초 5편 - 전지(2)
- 개심자연형, 1년차:기부우세성적용, 2년차부터:정부우세성적용
- 과수재배 기초 6편 - 전지시 고려할 사항
- 과수재배 기초 7편 - 유인(1)
- 과수재배 기초 8편 - 유인(2)
- 한그루에서 10가지 과일이 열리는 나무 만들기
- 제1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강의
- 제2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강의
- 제3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동영상 강의
- 제4강 - 매실나무 가지치기, 매실나무 정지전정, 매실나무 전지 동영상 강의
- 매실 열매가지 가지치기 방법 1부 - 매실 결과지(단과지, 중과지, 장과지) 전정방법
- 매실 열매가지 가지치기 방법 2부 - 매실 결과지(단과지, 중과지, 장과지) 전정방법
- 밤나무 관리- 해수
- 과수재배 기초 5편 - 전지(2)
- 개심자연형, 1년차:기부우세성적용 보통 부주지 1개, 2년차부터:정부우세성적용, 부주지는 1~2개
- 1년차:봄,여름,겨울:기부우세성적용 보통 부주지 1개, 1:양전정,2:중전정,3:강전정
- 2년차:여름,겨울:정부우세성적용, 부주지는 1~2개, 모두 약전정
-
.JPG)
- 3년차:여름,겨울:겨울:정부우세성적용, 부주지는 1~2개, 모두 약전정
-
.JPG)
- 과수재배 기초 6편 - 전지시 고려할 사항
- 결과지:열매가 달리는가지
- 결과모지: 결과지가 붙는 가지,일반적으로 결과지보자 1년더묵은가지
- 결과습성 : 결과지:꽃눈(통통하다),잎눈(가늘고길다),
- 과종별결과습성
- 그해 발생하는가지(신초가지)에서 착과 : 밤,감,대추,오디...
- 1년생가지에서 착과 : 복숭아,매실,자두,살구 등의 액과류
- 2년생 가지에서 착과 : 사과 매 모과
- 예, 감나무 가지 선단부 3~5개만 꽃눈, 나머지기 부쪽 눈은 잎눈이다.
- 감나무의 꽃눈은 결과모지라고한다. 즉 꽃눈에서 나오는 신초(의 가지,결과모지)에서 감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 잎눈에서 생기는 신초는 감꽃을 맺지않는다.
- 대추나무 전지
 
- 과수재배 기초 7편 - 유인(1)
- 정지와전정
- 가지의 종류
- 수형만들기
- 원가지 간의 거리
- 원줄기에 바퀴살가지가 발생하면 양·수분의 경쟁으로 원줄기가 약해지고 나무가 커지면 찢어지기 쉬움
- 튼튼한 골격의 수형을 만들기 위해서는 원가지 간에 거리를 두어야 하고 방향도 서로 겹치지 않게 해야 햇빛을 잘 받게 됨
- 분지 각도
- 가지의 발생 각도가 좁을수록 세력이 강해지고 나무가 커지므로 원줄기와 원가지의 분지 각도를 50~60o 정도로 함
- 분지 각도가 좁으면 가지의 세력이 강해지고 결실이 잘 되지 않으며 가지가 자라면서 찢어지기 쉬움
- 분지 각도가 넓으면 결실로 가지가 땅으로 늘어져 작업 불편하고 과실 품질 저하
- 원가지, 덧원가지는 나무의 골격으로 똑바로 자라게 하고 구부러져서는 안 됨
- 가지의 주종 관계
- 양분과 수분의 이동이 순조롭게 이루어지려면 가지의 세력이 주종 관계를 이루어야 함
- 원줄기〉원가지〉덧원가지〉곁가지〉열매어미가지〉열매가지와 같은 순
- 수관의 채광 상태
- 햇빛이 잘 들지 않으면 가지가 죽거나 착과가 나빠지므로, 수관 내부로 햇빛이 잘 들도록 함
- 과실이 적게 달릴 정도로 많이 자르지 않도록 하며 잎 수도 어느 정도 확보함
- 간장의 길이
- 간장: 지면에서 가장 가까이에 있는 원가지까지의 원줄기의 길이
- 간장이 길 경우
- 농기계의 운행과 토양 관리 작업이 편리
- 인공 수분, 열매솎기, 병해충 방제, 수확, 전정 등의 작업 불편
- 간장이 짧은 경우
- 수체의 생장량과 과실의 수량이 많은 경향
- 기계 작업에 큰 불편이 없는 한 간장을 짧게 하는 것이 좋음
- 교목성 과수의 수형
- 주간형
- 원줄기를 영구적으로 수관 상부까지 존속시키고 원가지를 그 주변에 배치하는 수형
- 정부우세성이 강한 사과나무와 감나무와 같은 과수의 생장 특성에 가장 가까운 과수 수형
- 장점
- 수형 구성이 쉽고 수관 확대가 빠름
- 초기 수량이 많음
- 단점
- 수령이 증가하면 수고가 높아져 관리 불편
- 나무 위쪽 가지의 세력이 강해지는 반면 아래쪽 가지는 쇠약해짐
- 수관 내부에 햇빛의 투과가 불량해져 과실의 품질과 착색이 불량
- 변칙주간형
- 유목기에는 주간형으로 키우다가 적당한 수의 원가지가 형성되면 원줄기의 상 단부를 제거하여 수고를 낮추고 수광 상태를 좋게 하여 주간형의 단점을 개선한 수형
- 사과나무, 감나무, 양앵두나무 등에 널리 적용하는 수형
- 개심자연형
- 배상형의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짧은 원줄기에 2~4개의 원가지를 배치하되 원가지와 다른 원가지 사이에 15cm 정도의 간격을 두어 바퀴살가지가 되는 것을 피하고 결과 부위를 입체적으로 구성하는 수형
- 장점
- 수관 내부가 완전히 열려 있어 수광 상태 양호
- 수고가 낮아져 관리하기가 편리
- 복숭아와 같은 핵과류, 배나무나 감귤나무에서 널리 적용
.JPG)
LIST TOP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