탐색 건너뛰기 링크입니다.
|
|
2303년도 체리관리 : 체리보식, 커팅, 이중접목묘목 식재[자원전체][과수이야기][체리나무]
- 과수원 수종 이식 및 보식
- 230302 밤나무 이식 및 체리 보식 계획
- 2023.03.09(목) 기존 밤나무 이식(8그루)
- 2023.03.10(금) 체리묘목 식재(11그루),무화과/석류/왕보리수/포도 묘목 식재
- 2023과수성장일지(3).pptx
- 230302 밤나무 이식 및 체리 보식 계획
- 농원 중앙부에 체리 단지를 만들기 위하여 밤나무를 그림과 같이 중앙부에 위치한 2년생 밤나무 5주를 이식하고 11주의 체리나무를 구매하여 식재한다.
- 230309(목) 밤나무5그루, 보식용 8그루 이식
- 서단의 포르단 밤나무 3그루와 동단 대보 및 포르단을 그림과 같이 이식하였다.
- 작년 보식용으로 가식해 두었던 포르단 8주중 4주는 고사하였고 3주를 그림과 같이 이식하고 한주는 그 자리에서 정식 밤나무로 성장시킨다. 이식하기 위하여 나무를 캐는 과정에서 지난 1년간 키워낸 뿌리 일부를 잘라 내야만 했다. 대부분의 나무가 실하게 5mm정도의 뿌리를 가지고 있었다. 금년에 다시 자리를 잡고 새뿌리도 잘 키워주기 바라면며서 물도 충분히 주며 재식을 하였고 보습, 제초 및 보온을 효과를 기대하며 흑색비닐로 멀칭을 해주었다.
.jpg)
- 20230310(금) 체리묘목 11주와 무화과 포도묘목을 새로 식재하였다.
- 체리 품종 재식 : 요즈음 각광 받고 있는 버건디펄, 홍수봉, 브룩스,러시아8호,레이니어 총 11주를 재배하기로 하고 충청농원에 방문하여 묘목을 인수하고 오후에 그림과 같이 식재하였고 고사한 감나무를 보식하기위하여 대봉1주도 식재하였다. 3나무에 20L정도의 물을 나누어 주었다.
- 기타 무화과, 석류, 보리수, 포도묘목, 캠벨,샤인머스켓 및 거봉 품종도 중앙묘목농원에서 인터넷구매하여 식재하였다. 그림에서 붉은 색의 글자가 금번에 식재한 묘목의 이름과 위치이다. 이틀후 일요일에 비가 예보되어 있어서 멀칭은 월요일에 하기로 하고 귀가 하였다. 일요일에는 아이들과 광주 곤지암에서 만나 식사를 하고 일요일 밤은 곤지암 리조트에서 일박하고 월요일 오후2시경 귀가하였다.
- 20230312(월) 새로식재한 묘목을 멀칭하다.
- 예보대로 12일 일요일 낮에는 종일 2~7mm 강수량의 봄비가 내렸다. 봄비치고는 상당한 량으로 생각되지만 이 정도 강수량이 실제 밭에서는 어느정도 수분을 제공하여 나무에 어느정도 도움이 될수 있을는지는 모르겠다. 초보농부는 공부해야 할것이 많다. 아무 튼 이식 및 식재한 나무에 도움이 될 것 같긴하다. 역시 보습, 제초 및 보온을 효과를 기대하며 새로 식재한 모든 묘목에 흑색비닐로 멀칭을 하였다.
- 20230317(금) 과수재배치 및 2중접목 콜트대목 체리 홍관/라핀 식재
- 서단 WB줄의 감나무과 포르단을 이식하고 새로구입한 체리 이중접목묘목 2주 홍단과 라핀을 식재하였다. 케이블타이를 이용하여 근계대목고사르 시도하였다. 완성된 과원의 총과수수는 95주이고 배치는 다음 그림과 같다.
- 인터넷구매에서 허점을 이용한 얄팍한 상술에 당한기분이다. 현재 식재되어있는 체리는 모두 크림슨대목이다. 콜트대목 체리도 보유하고 싶어서 콜트대목의 묘목 2주를 더 구매하였다. 그런데 콜트대목 상품이라고 판매한다고 하고는 콜트 2중접목 묘목을 보내왔다. 콜트대목은 맞는데 2중접목이다. 2중접곡묘가 뭐지?
- 2중접목 묘목은 아마도 벚나무(?)실생에 콜트 뫠성대목을 접목하고 왜성대목에 다시 라핀 품종을 접목한 2중접목주일 것이다. 이것도 이번에 공부한 내용이다. 공부할 것이 너무 많다. 전에는 이러한 상식의 부족하여 2중접목 여부를 확인도하지 않고 접목테이프는 무조건 제거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식재하여 왔다. 전에 심은 체리 중에 이중점목의 묘목이었다면 실수를 했을 지도 모르겠다는 걱정이 생긴다.
- 2023.03.19(일) 체리묘목(충청농원)는 이중접목묘목이 아님을 확인
- 10일 식재한 11주의 체리묘목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중대목묘가 아님을 확인하였다. 이중묘묙의 개념을 숙지하고 나서 생각해보니 금번 구입하여 식재한 체리묘목의 대목들이 보통 대목보다 길어서(30~40cm) 이중점목묘가 아닌지 의심(?)이 더해졌다. 러시아8호 한주를 선정하여 대목을 파내어 보았다. 이중접목이 아님을 눈으로 직접 확인하였고 충청농원 묘목상에 전화로도 확인하였다. 자기농원에서는 사과를 제외하고는 이중접목은 취급하지 않는 다고 한다. 대목 부위가 2/3정도 묻히도록 복토를 해주고 작업을 마치었다.
- 2023.4.1(토) 매실, 자두 보완
- 작년 재식한 홍/청매실중에 홍매실이 고사하여 청매실의 수분수가 필요하게 되었다. 수분수로 화양실(홍매화)를 구입하고, 한 재식2 년차 자두의 품종을 몰라 결실을 장담할 수 없다는 사실을 이제야 알게되어 순분수 슈가푸른 품종(자가결실)을 그리고 백살구(자가결실)을 구입하여 재식하였다. 즉 상호수분수로 슈퍼청매화6상와 화양실(홍매화)6중을, 자가결실품종으로 자두 슈가푸룬(8중), 백살살구품종을 재식하였다.
-
.jpg)
- 2023.4.1(토) 폭풍성장중인 생명체
- 식재한지 20여일이 지난 묘목들이 신비스울 정도로 강력한 에너지를 발산하고 있다. 무서울 만큼 빠르고 튼튼하게 건강한 눈을 내밀고 하루가 다르게 폭풍 성장하고 있다. 복판에 서 있으면 90여 생명체가 협주하는 에너지의 흐름이 느낄 수 있다. "주인님 감사합니다. 보살핌으로 잘 자라고 있읍니다."하는 소리가 들리는 듯하다. 이제 신초로 성장할 눈과 버릴 눈을 유심히 관찰하고 눈따기를 게을리하지 말아야 할것같다. 하면 벌받지 않을까?
-
- 이중접목묘목 식재 방법 :
- 아래그림과 같이 이중접목묘목은 근계대목, 왜성대목과 품종의 접수로 구성된다. 성장과정에서 근계대목의 뿌리는 일년성장을 담당한다. 그사이에 왜성대목에서 새로 뿌리가 생성되고 근계대목은 고사되어야한다. 그러기 위해서 근계대목의 고사를 유도해야한다. 근계접목부위의 접목테이프를 제거하지 않는것 만으로도 고사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더 확실하게하기 위하여 왜성대목접목부위 위에 철사,케이블타이,근사링제품 등을 이용하기도한다. 식재하고 1년 성장시킨 후 접목부근까지 복토하는 것도 권장된다.다.복토는 더 많은 뿌리 생산을 유도한다. 이중접목묘를 만드는 이유는 왜성대목의 생산(삽목등)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중접목묘의 생산방법은 생산이 용이한 벚나무등의 실생묘를 만들어 1년간 키우고 왜성대목을 접목하여 1년간 더 키우고 최종 품종의 접수를 접목하여 1년간 키워서 생산하는 총 3년이 소요되는 묘목생산방법이다. 반면에 일반묘목은 왜성대목을 삽목하여 뿌리를 내리고 접수를 접목하여 생산하는 2년이 소요되어 생산되는 묘목이지만 묘목을 식재하여 성장시키기에는 더 안전하므로 값도 비싸다.
- 2023.06.24 나무고사 등 현황
- 2023.06.24 체리 1차 및 2차 커팅
- 식재1년차 1차커팅
- 식재 2년차 3차커팅
- 1개 라핀 3차커팅,
- 다른 라핀은 수지병으로 꼴가닥중 ~~~
LIST TOP
|